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13 문명6 초반 빌드(테크트리) 및 확장 멀티 타이밍 공략 문명6을 처음 하면, 어떻게 빌드를 올려야 하는지 잘 모를 수밖에 없다. 특히, 문명5처럼 전통 트리 찍고 도시 3-4개만 유지해도 승리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도시를 6-7개 가량은 가지고 있어야 승리할 수 있는 게임이기 때문에 생각해야 할 부분이 많다. 그런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기 어려워서, 쉽게 알 수 있게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 문명6은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플레이 해야 하고, 내가 말하는 게 완벽한 정답은 아니기 때문에 '뉴비가 어떤 식으로 플레이하면 되는지 맛만 보여주는' 정도의 글이라는 걸 감안하고 읽어줬으면 좋겠다. 내 플레이도 마냥 좋은 플레이는 아니다. 단지, 뉴비는 이조차도 몰라 헤매는 일이 많고, 이걸 설명해주기 너무 어렵기 때문에 가볍게 정리를 하는 글이라고 보..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11. 25. 문명6 야만인 대응 빌드 차이 설명 반 년 전에 예전에 야만인 대응 공략을 올린 적이 있다. 초보를 위한 문명6 초반 공략 (도시 위치, 야만인 대처) 이후 발행될 해당 카테고리의 글은 문명5에서 문명6으로 넘어왔는데 "적응을 하기 힘들다", "초반에 너무 답답해서 게임을 못 하겠다"고 생각하는 분을 위한 글입니다. 즉, 문명에 대한 기초지식( mingyeo1ee.tistory.com 문명6 야만인 대응 방법 (문명6 공략) 이전에 간략하게 도시 위치 정하는 팁과 야만인 대응하는 팁을 정리했었다. 초보를 위한 문명6 초반 공략 (도시 위치, 야만인 대처) 이후 발행될 해당 카테고리의 글은 문명5에서 문명6으로 넘어 mingyeo1ee.tistory.com 그리고 최근에도 야만인 모드에 관한 글을 올린 적이 있다. 문명6 야만인 부족 모드 ..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11. 24. 문명6 도시 심시티 공략 (도시 펴는 위치, 개발 가이드) 문명6을 시작하고 100시간 조금 안 됐을 때 뉴비 가이드를 작성했던 걸로 기억하는데, 그로부터 반 년 조금 넘게 지났다. 그 때 가이드가 초보에게는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하지만 지금 보면 너무 부족한 공략이다. 되게 확신에 가득 차서 말했지만, 잘못된 정보도 조금 있었던 거 같고. 그 때는 나도 100시간도 안 한 뉴비라서 제대로 되지 않은 부분이 많다. 지금은 700시간 넘게 했고, 신 난이도에서 과학 승리 정도는 할 수 있게 됐다(대륙, 초대형, 두툰AI, 두툰 밸런싱 기준). 불멸자 난이도 즐겜이란 단어에도 어느 정도 공감할 수 있게 됐다. 그래서 도시를 어떻게 펴야하는지 공략을 새로 작성해볼까 한다. 처음 도시펴는 위치부터 특수지구 등의 위치를 선정하는 방법 차례대로. 도시 부지는 어디로 선정해..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11. 23. 문명6 야만인 부족 모드 차이점 (야만인 부족 모드 켜도 되나요?) 문명6에 탑재된 자체 모드 중에 '괜찮다' 싶은 모드는 야만인 부족 모드 하나 뿐이다. 그래서 아무 생각없이 야만인 모드를 켜는 사람도 있고, 반대로 게임이 달라지는 부분이 싫어 안 켜는 사람도 있다. 그에 대한 내 생각은, "야만인 모드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한 사람이 켜는 건 상관없지만, 자신의 '입맛'으로 켜거나 끄면 안 된다"다. 플레이 내용이 바뀌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야만인 부족 모드의 문제점 (야만인 부족 모드를 발생하는 차이) '도시 국가의 수'를 가장 큰 문제라고 말하는 유저가 많다. 구석에 생긴 야만인 부족이 도시 국가로 바뀌면서 도시 국가의 수도 많아지고, 구석에 생긴 도시 국가는 AI가 제대로 관리하지 않기 때문에 종주국 보너스를 받기도 쉽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 생각은 조금 다..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11. 8. 문명6 초심자 및 뉴비용 공략 정리 초보 때부터 플레이하면서 내가 느꼈던 부분, 초보가 잘 모를 수 있겠다 혹은 오해하기 쉽겠다 싶었던 부분을 공략 (혹은 가이드, 팁) 으로 정리를 많이 해놨다. 나도 초보 때 검색하면서 궁금했던 부분, 잘 모르겠던 부분을 많이 찾아봤었는데 정말 도움이 되는 글도 많았지만 AI 버그가 있었던 초기나 중요 패치가 이루어지기 전인 2018년에 쓰인 글도 많고 (산업 특수지구 중복 적용 등), 공략이 있긴 있는데 공략을 써먹을 정도로 자세하게 써있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 물론 내 글도 그런 글 중 하나일 수는 있지만, 최대한 풀어서 설명을 해놨으니 시작하는 유저에게 도움이 됐으면 한다. 그리고 블로그 내에서 일일이 찾으려면 불편하니까 내가 직접 정리해서 묶어두는 글. 글을 새로 작성할 때마다 이 글도 업데..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3. 6. 문명6 얼마에 사야 하나요? (문명6 할인 가격, 제품 설명) 문명5에서 문명6으로 넘어올 때 가장 중요한 정보. "그래서 문명6을 구매할 때 뭘 사야하느냐, 얼마에 사야하느냐." 가격 정보만 필요하면 (제품 설명이 매우 길기 때문에) 밑으로 쭉 스크롤 내리면 된다. 혹은 위의 목차를 눌러 가격 정보로 가거나, (PC 기준) 옆의 목차를 눌러 내려가도 된다. 문명6 제품 상세 설명 Sid Meier's Civilization® VI Sid Meier’s Civilization® VI Anthology Sid Meier's Civilization® VI Platinum Edition 일단 문명6 판매 제품을 간단하게 요약하면 이렇게 세 종류다. 가격을 보면 당연히 가장 비싼 제품을 사야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지만, 어떤 게임은 DLC 추가 외에 음악 트랙 등 게임과 ..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3. 6. 문명6 댐각 "쉽게" 이해하는 팁 (댐각 입지조건 정리) 예전에 문명6 댐각은 시드마이어도 모른다고 했었다. 이 때 될 거 같은데 안 되는 곳도 있고 실수할 수도 있으니 이왕이면 모드를 추천한다는 식으로 글을 마쳤었다. 아무리 댐각을 잘 봐도 애매한 부분이 존재하며, 가끔 내가 잘 본 줄 알았는데 못 보는 경우도 있으며, 그러니 차라리 핀 찍어서 되는지 안 되는지 아는 게 차라리 나으니까. 문명6 댐각, 송수로각 정리 (댐, 송수로 특수지구 설치 위치 조건) 문명6을 하면서 가장 당황하는 부분이 댐각과 송수로각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특수지구는 보너스 효과가 적을 뿐이지 설치를 어디든 할 수는 있는데, 송수로와 댐은 특정 조건이 아니면 설치 자 mingyeo1ee.tistory.com 위 글이 그 때 글인데, 문득 게임하다가 깨달은 게 있어 (아는 사람은 다 아..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3. 5. 문명6 신 난이도 차이 (난이도 설정, 추천) '게임은 항상 최고 난이도'라는 슬로건 아래서 무조건 가장 어려운 난이도로 하는 유저도 있고, AI와 대전하는 게임이 그렇듯 AI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서서히 난이도를 올리는 유저도 있다. 다만 게임이 복잡하고, 사람이 하는 플레이를 (딥러닝으로 교육시킨 게 아닌 이상) AI가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컴퓨터에게 자원 등의 수치를 단순 보정하고 유닛을 더 주는 식으로 보정을 하게 되어 일반 난이도에 비해 다른 점이 많다. 문명6 난이도별 보정치 문명6의 난이도는 "개척자, 족장, 대장군, 왕자, 왕, 황제, 불멸자, 신"으로 총 8가지 난이도가 있다. 그리고 기본 설정되는 난이도는 왕자 난이도로 AI와 플레이어가 동등한 기준을 가진다. 아래는 난이도별 보정 수치 개척자 AI 전투력 -1..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3. 5. 문명6 초반 테크 빌드업 유형 분류 (도시 적정 인구, 입지 조건) 문명5는 사회 정책으로 도시 빌드 방향을 결정했었다. 고대 시대엔 전통, 자유, 명예, 신앙으로 나뉘어진 4가지 유형 국가에 따른 4가지 유형 중 선택할 수 있었다. 종교 승리는 없어 사실상 전통, 자유, 명예로 사실상 3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었다. 문명5 신 난이도에선 AI와의 속도 차이로 인해 도시를 많이 펼 수 없고, 사실상 과학 승리밖에 하지 못 해서 (문화 승리는 난이도가 낮을 때조차 어렵다) 적은 도시를 크게 키우는 전략이 효율적이었다. 그리고 전략의 기반이 되는 빌드가 인구 증가와 불행 감소를 얻을 수 있는 "전통"과 "평등" 트리. 하지만 문명5에서 문명6으로 넘어가면서 시스템이 많이 바뀌었다. 그리고 문명5와 달리 직관적이진 않다. 아래는 나도 플탐 잔뜩 갈아넣고 나서야 깨달은 부분이다..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3. 1. 문명6 도시 특수지구 심시티 (문명6 공략) 문명6과 문명5의 차이는 '특수지구'의 여부다. 문명5은 3~4개 가량의 도시를 골고루 잘 키워서 인구 펌핑해서 과학력만 끌어올리면 모든 게 다 해결되는 게임이었다. 하지만 문명6은 전혀 다르다. 도시의 개발을 무한하게 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전략자원의 희귀성으로 인해 도시가 서부개척시대 미국처럼 광활하고 넓을수록 유리하다. 한정적인 인구와 한정적인 도시 타일 때문에 도시의 크기를 무한히 확장하는 건 불가능하며, 그렇기 때문에 다도시 중·소개발을 하게 된다. 그리고 특수지구를 건설할 때는 인구제한이 있기 때문에 결국 도시별로 어느 특성을 부여할 건지 특수지구를 통해 정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문제는, 특수지구에 대해 알게 되면 "인접 보너스"의 중요성을 듣게 되고, 주객이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2. 24. 문명6 야만인 대응 방법 (문명6 공략) 이전에 간략하게 도시 위치 정하는 팁과 야만인 대응하는 팁을 정리했었다. 초보를 위한 문명6 초반 공략 (도시 위치, 야만인 대처) 이후 발행될 해당 카테고리의 글은 문명5에서 문명6으로 넘어왔는데 "적응을 하기 힘들다", "초반에 너무 답답해서 게임을 못 하겠다"고 생각하는 분을 위한 글입니다. 즉, 문명에 대한 기초지식( mingyeo1ee.tistory.com 하지만 너무 간단하게만 설명했고, 글도 길고 눈에 확 들어오는 설명이 아니라는 생각에 다시 한 번 더 작성하는 글. 야만인에 대해서만 알아보자. 결국 야만인을 방어해야 도시를 가지고 지지고 볶든 뭘 하니까 야만인 방어하는 게 뉴비에겐 가장 중요하니까. 저번에도 말했지만 우리는 위 이미지와 같은 상황을 종종 맞이할 수 있다. 문명6을 많이 했다..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2. 24. 초보를 위한 문명6 초반 공략 (도시 위치, 야만인 대처) 이후 발행될 해당 카테고리의 글은 문명5에서 문명6으로 넘어왔는데 "적응을 하기 힘들다", "초반에 너무 답답해서 게임을 못 하겠다"고 생각하는 분을 위한 글입니다. 즉, 문명에 대한 기초지식(불가사의, 강옆, 식량 등을 이해)은 있는데 문명5로 입문해서 문명6을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게임을 하려고 샀는데 막상 하려니 못 하겠는 유저'를 대상으로 합니다. 참고로 문명5의 기준을 호떡처럼 반대로 뒤집어둔 게 문명6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문명6 도시 펴는 위치 문명6 타일을 문명5 기준으로 생각하면 안 된다. 문명5에서는 '공공행정' 연구로 강 옆 농장의 식량을 늘려주는 게 도시 인구를 펌핑하는 주된 요소였다. '강 옆' 평원 농장에 3식, 초원 농장에 4식이 나왔기 때문에 건물 몇 가지와 연계되어 (..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2. 17. 문명6 댐각, 송수로각 정리 (댐, 송수로 특수지구 설치 위치 조건) 문명6을 하면서 가장 당황하는 부분이 댐각과 송수로각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특수지구는 보너스 효과가 적을 뿐이지 설치를 어디든 할 수는 있는데, 송수로와 댐은 특정 조건이 아니면 설치 자체가 불가능하다. 문명6을 하면 하스스톤 같은 TCG 하는 기분을 많이 느낄 수 있다. TCG를 농담처럼 '국어게임'이라고 표현하는데, 문명6도 '국어게임'에 가깝다. 설명을 해두긴 해뒀는데 뉴비 입장에서 원리나 개념이 와닿지는 않아 결국 여기에 상업지구 만들고 송수로 여기에 만들고 댐 여기에 만든 다음에 여기에 산업지구 찍고 여기다가 산업구역 만들면 되겠다 핀으로 다 찍은 뒤 나중에 설치할 때가 되면 "아니 왜 여기에 안 돼?" 답답해져버린다. 하지만 댐각과 송수로각은 되게 간단하다. (정말 초보가 볼 수도 있으니 하나.. 문명6/문명6 초심자 가이드 2022. 2.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