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스 스테이션에 블루투스 설정을 이용하면 제품을 조금 더 편하게 관리할 수 있다.
SteamVR 베이스 스테이션 베이스 스테이션 설정 (블루투스 설정)
스팀VR을 사용할 때만 베이스 스테이션이 켜지고 그 외에는 절전 모드로 전환되는 옵션도 있기 때문에, 베이스 스테이션 수명을 조금이라도 더 길게 가져가고 싶어 그런지(?) 많이 권장하는 옵션이다.
스팀VR 좌측 메뉴를 눌러 "기기 - 베이스 스테이션 설정"으로 들어가 설정할 수 있다.
하지만 해당 옵션을 설정하려고 할 때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블루투스를 활성화하여 베이스 스테이션 전원 관리 및 업데이트를 비롯한 무선 기능들을 이용하세요. (X)
블루투스 현재 사용 불가
이 문제의 원인이 뭔가 싶을 거다.
많은 사람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루투스도 꽂아보고 헤드셋 써서 설정해보고 다른 사람이 하라는 대로 설정하라는 대로 뚝배기에서 연결이 되는 거라느니 이런 설정을 하면 된다느니 이 옵션을 켜면 된다느니 다른 사람의 조언에 따라 다들 설정을 하려고 노력하셨을 텐데, 그거 다 아니다.
오큘러스 퀘스트2를 쓰고 있는 우리(?)는 설정할 수 없다.
해당 베이스 스테이션의 블루투스 옵션은 밸브 인덱스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종류의 헤드셋은 블루투스 옵션을 사용할 수 없다. 블루투스 기능이 있는 밸브 뚝배기(헤드셋)만 가능한 설정이고, 같은 바이브 제품군이라도 무선은 안 되는(다만 링크박스 부분을 손대면 가능하다는 말도 있는데 난 모르겠다) 매우 귀찮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당연히 다른 제품 라인업인 오큘러스 퀘스트2 사용자는 이 설정을 사용할 수 없다.
그리고 이는 베이스 스테이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내가 영어로 된 설명서를 제대로 읽어보지 않아서 이는 확실하지 않으나, 커뮤니티 사이트 등 찾아보면 '사용하지 않을 때는 대기 모드로 두는 게 제품 수명에 좋은 영향을 끼친다'는 듯한 내용이 종종 보이기 때문이다.
As stated in the manual, and in the description of the setting, activating power management increase the lifetime of the stations. I don't really get why people are asking about that every two months really. It's written, by the manufacturer. Twice.
메뉴얼과 설정 설명에 명시된 바와 같이 전원 관리를 활성화하면 스테이션의 수명이 늘어난다. 왜 사람들이 두 달에 한 번씩 이러한 질문을 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 제조사에 의해 쓰여졌다. 두 번.
(출처: Base Station: Sleep mode or not?, 레딧)
같은 중고 그래픽 카드라도 채굴에 사용된 그래픽 카드의 성능이 나쁜 이유도 '항상' 최대치의 성능으로 작동하기 때문이다. 그래픽 카드는 자원을 많이 사용하지 않을 때 쿨링팬조차 돌릴 필요 없이 잠잠하게 돌아가는데, 이렇게 가볍게 사용한 그래픽 카드는 5년이 지나도 사양이 부족할 뿐이지 제품 자체는 새 제품과 다르지 않다.
베이스 스테이션도 같은 반도체 제품인 만큼 그런 특징이 없지 않을 거라고 본다. 그렇기 때문에 베이스 스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을 때도 당연히 꺼두는 게 좋다 생각한다. 하지만 아까 말했다시피 오큘러스 퀘스트2로 혼종 풀트를 하는 유저는 위 설정을 건드릴 수 없으며 항상 작동 상태로 유지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온오프가 되는 멀티탭을 사용하는 유저도 있는데(나도 아예 꺼야할 때를 위해 그렇게 구성하긴 했다), 내 생각엔 멀티탭 온오프로 전원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일은 권장할 만한 방법이 아닌 거 같다. 반도체 제품을 '종료'한 상태로 대기 전력을 항상 흐를 수 있게 구성하는 게 가장 베스트기 때문에. 멀티탭 온오프를 사용하는 건 오프일 때 대기 전력도 흐르지 않을 뿐더러, 오래 방치되다 갑자기 전류가 흐를 경우 뻑 하고 고장날 확률도 높으니까.
오큘러스 퀘스트2 사용자가 원격으로 베이스 스테이션의 전원을 관리하려면, 핸드폰 앱을 통해 직접 껐다 켜는 방식으로 사용해야 한다.
Lighthouse Power Management
앱 스토어(플레이스토어)에서 Lighthouse Power Management 앱을 다운받아야 하고, 수동으로 껐다 켜기 때문에 조금 귀찮을 수는 있다. 스팀VR 구동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꺼지는 기능은 없는 걸로 보인다.
다만 "(인덱스와 똑같이 만들어서 그런 문제는 없겠지만) 베이스 스테이션이 벽돌이 될 수 있다"느니 하는 무서운 문구가 있어서 선뜻 사용하기엔 무섭지만, 그래도 제조사가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다고 하고 이거밖에 없으니 이걸 쓰는 수밖에 없어보인다.
Lighthouse Power Management 설치 및 설정 방법
설정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Lighthouse Power Management - Google Play 앱
Valve Index의 등대를 제어하는 앱
play.google.com
스마트폰에 해당 앱을 설치하고, 위치 기능을 사용하는 걸로 설정하고, 스마트폰에 베이스 스테이션 블루투스를 잡아주면 끝이다. 그럼 앱에서 연결한 베이스 스테이션을 볼 수 있고, 여기서 전원 버튼을 눌러 Stand by, On, Sleep 모드 등 설정해줄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 스테이션의 상태 표시등을 보면서 제대로 설정됐는지 확인하면 된다.
아, 베이스 스테이션 PIN 코드는 0000 으로 하면 된다. 블루투스 연결이 안 되는 거처럼 보여도, 일반적인 블루투스 기기의 페어링처럼 연결되는 게 아니라서 연결 안 되는 듯 보여도 0000으로 연결하면 연결 될 거다. (몇 번 시도 해보고 앱 내에서 베이스 스테이션이 보이는지 확인해보는 걸 추천한다)
베이스 스테이션 상태 표시등 상태
이는 바이브 홈페이지의 베이스 스테이션 상태 표시등에 따른 베이스 스테이션 상태다. (출처: What does the status light on the base stations mean?, 바이브 공식 홈페이지)
베이스 스테이션 1.0
선명한 초록색:
일반 모드.
흐릿한 초록색:
대기 모드.
파란색:
안정화 기다리는 상태. 지속될 경우 진동이 없는 위치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확인 필요.
보라색:
동기화 시도 중.
깜박이는 보라색:
동기화 차단.
베이스 스테이션 2.0
하얀색, 초록색:
일반 모드.
파란색, 깜박이는 파란색:
안정화 기다리는 상태. 지속될 경우 진동이 없는 위치에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확인 필요.
빨간색:
오류 발생.
공식 홈페이지에선 슬립 모드의 색을 따로 언급하고 있진 않는데, 내가 앱에서 사용해본 결과 베이스 스테이션 2.0을 슬립 모드로 선택할 경우 "파란색"으로 표시된다.
정보를 조금 더 찾아보면 (스팀VR의 블루투스 설정을 사용할 수 있는 유저가)"슬립 모드는 파란색" 이라고 표현하는 모습을 많이 볼 수 있기 때문에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거 같다.
혼종 풀트라 꼬운 게 많다 정말.. 이걸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메타(페이스북)에서 풀트 기기를 만드는 방법 밖에 없는데, 정작 AR에만 관심을 가지고 있다.
'VRChat > VR 기기 설정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퀘스트2 컨트롤러 키위 4세대 그립 커버 스트랩 교체 및 해체 방법 (1) | 2022.08.26 |
---|---|
VRChat 오큘러스 퀘스트2 혼종 풀트 방법 (오큘러스 풀트래킹 방법) (29) | 2022.08.18 |
오큘러스 퀘스트2 (무선) 에어링크 연결 설정 및 유선 연결 설정 방법 (0) | 2022.08.18 |
버츄얼 데스크탑 (Virtual Desktop, 버데탑) 설치 방법 및 설정 (0) | 2022.08.16 |
풀트 기기 구매 주의사항 (베이스 스테이션, 트래커 풀트래킹 차이) (0) | 2022.08.10 |
댓글